[앵커멘트]
결혼과 출산을 앞둔 신혼부부의 큰 고민 중 하나는 주거비 문제일텐데요. 올해부터 아이를 낳는 무주택 가구는 매월 일정 금액의 주거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송원종 기자의 보도입니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지난 2023년 기준 서울에서 경기·인천 지역으로 이주한 인구는 약 32만 명입니다.
그중 '주거'와 '가족'을 이유로 꼽은 인구는 61%에 달했습니다.
결혼과 출산을 앞두고, 서울보다 저렴한 신혼집을 찾아 인근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겁니다.
[ 박효주 / 참여연대 주거조세팀장 : 서울시 같은 수도권 같은 경우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서 이제 주거 문제가 워낙 심각하고, 주거비 부담도 굉장히 높기 때문에. 특히 서울은 전세 사기 대란 이후에 월세 부담이 계속 높아지기 때문에…. ]
서울시는 올해 출산한
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무주택 가구에게 2년간 주거비를 지원합니다.
매월 30만 원씩, 2년간의 전세보증금 이자와 월세 720만 원을 지급하는 겁니다.
여기에 둘째를 출산하는 등 다자녀 양육가구는
최대 4년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기존 임대주택 공급 등이 '주택 마련'에 초점이 맞춰 있었다면, 이번 대책은 주거비 부담을 덜어준다는 설명입니다.
입주 기회를 얻기 힘든 임대주택과 달리, 출산과 육아를 앞둔 가구가 바로 체감할 수 있다는 것.
하지만, 더욱 안정적인 신혼부부 주택문제 해소와 출산율 반등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의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
[ 구혜영 /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: 출산 장려와 관련해서 도움을 주고 싶다고 한다면, 장기적 차원에서 주거 생활의 안정화를 같이 가져오게 해주는 그런 서비스들이 더 필요하다라고 보여집니다. ]
서울시는 오는 5월부터 신청을 받아 사업을 펼칠 예정.
이번 정책이 신혼부부의 주택 문제 해결과 출산 장려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
HCN 뉴스 송원종입니다.